본문 바로가기

학점은행제68

학점은행제 학점이 될 수 있는 대상들 (7/10) 대학교에서는 학점이 될 수 있는게 수업을 이수하는 것이 전부입니다. 하지만 학점은행제 제도에서는 평가인정 학습과정=수업 이외에도 이전 대학교 학점, 시간제 그리고 자격증과 독학사 등등 여러가지를 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어서 기간과 비용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2021. 2. 24.
학점은행제 신청 절차에 따른 시기 (6/10) 학점은행제는 어떤 방식으로 듣던 행정절차가 따로 있습니다. 바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 홈페이지에 학습자등록 > 학점인정 > 학위신청 과 같은 절차를 마쳐야지 실질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각 과정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있습니다. 수업을 듣는 것과는 별개의 과정이기 때문에 자격증이나 학위를 받으려면 반드시 이 절차를 마쳐야 하고 각 과정은 매년 1,4,7,10월에 위 이미지대로 신청해야 됩니다. 다만 순서를 매번 지킬 필요는 없고 실제로 활용하기 전에만 하면 됩니다. 수업을 듣고 나거 행정절차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학점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나중에라도 하면 다 인정되는 것입니다. 2021. 2. 24.
학점은행제 최종학력에 따라 다른 소요기간 (5/10) 이번에는 다소 복잡한 이미지인데요 쉽게 생각하실 수 있도록 간단히 요약해드리겠습니다. 고졸자 경우(2년제, 3년제 졸업자, 자퇴. 제적 등등 4년제 대졸자가 아닌경우) 1. 2년제 학위까지 80학점 2. 4년제 학위까지 140학점 - 대신 자퇴, 제적, 전문대 졸업 등의 학점을 사용할 수 있다. 4년제 대졸자의 경우 1. 또다른 4년제 학위까지 전공 48학점 이 두가지 경우가 거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것입니다. 2021. 2. 24.
학점은행제와 대학교의 차이(4/10) 학점은행제는 대학교와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. 우선 대학교는 기본적으로 출석을 하면서 매년 3월, 9월에 입학을 하며 입학을 위한 시험등이 있는데 학점은행제는 입학도 자유로운 편이며 입학에 성적제한이 없습니다. 그 이외에도 수업밖에 없는 대학과 달리 온라인 수업을 비롯한 자격증 등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점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학점은행제입니다. 2021. 2. 24.